이전 아티클에서는 Docker hub에서 이미지를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부터는 이미지를 실행시키는 container ru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ocker desktop에서 이미지 실행하기
먼저, 도커 데스크탑에서 이미지 탭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하게 되면 Run이라는 버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대화상자가 나옵니다. 여기서 바로 Run 할 수도 있지만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만든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생길 때 관리를 더 잘하기 위해서 이름을 지정합니다. 우리는 ws1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해보겠습니다. 그리고 Run을 클릭 합니다.
그리고 이제 ws1이라는 컨테이너가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컨테이너 안의 프로세스로 현재 버닝되기 시작했습니다.
해당 컨테이너를 클릭하면 컨테이너의 로그(log), 컨테이너의 자세한 정보(inspect), 통계자료(stat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는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엔 stop를 통해서 해당 컨테이너를 내려줍니다. 만약 다시 실행하고자 한다면 start 버튼을 통해 실행합니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필요없다면 delete 버튼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이 작업을 터미널에서 실행해봅시다.
터미널에서 Docker Image 사용하기
Docker run
도커 docs에서는 도커 이미지를 실행 시키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 docker run [OPTIONS] IMAGE [COMMAND] [ARG...]
IMAGES에는 실행할 이미지의 이름을 넣어주고, 앞에는 OPTION 뒤에는 COMMAND를 적어줍니다. COMMAND는 그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하고 싶은 명령이 있다면 그 명령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위 이미지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의 목록을 보고 싶을 때는 ps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docker ps
컨테이너를 만들었습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하나의 이미지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하나 더 생성합니다.
위에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것과 같이 docker run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name이라는 옵션과 함께 이름을 ws2라고 지어보겠습니다.
$ docker run --name ws2 httpd
다시 docker ps 명령어를 통해서 두개의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