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github
- xtring.log
- shortcut
- nextJS
- currying
- Docker
- npm
- React Native
- REACT
- Xcode
- Swift
- vscode
- js
- react-native
- ES6
- viewcontroller
- Android
- DevOps
- ios
- ReactNative
- styled-components
- npm install
- JavaScript
- GitLab
- rn
- git
- HTML
- Branch
- commit
- styling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lex (1)
xtring.de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Zsaw/btqZEAnXeyf/39Q90qdKLKsqcCAmgfQXA0/img.png)
1. Introduce Flexbox 기존의 웹 layout을 정의하는 방식 보다 세련되고 편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Flexbox를 잘 알고 있다면 어떠한 Layout이라도 쉽고 빠르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이즈가 불명확하거나 동적인 경우에 효율적이며 쉽게 예측 가능하여 사용하기 편합니다. 웹 뿐만 아니라 React Native에서도 주로 사용되는 Position 방법이기 때문에 잘 알아두면 아주 쓸모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웹에서는 div요소 즉 block 요소를 기본으로 수직정렬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수평정렬하기 위해서는 1. 자식 요소(children)를 inlin-block으로 지정하고 2. `float` 속성 지정을 사용합니다. .item { display: inline-block; ..
Front-End/HTMLL & CSS
2020. 3. 10. 01:40